1983년부터 1988년까지 청량리
사창가 일대에서 이곳 사람들과
동고동락하며 찍은 사진이라고 합니다
2012년 이후 재개발 광풍으로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선 지금의 청량리에서는
다시는 찾아볼 수 없는 풍경이라고 하네요^^







//
엿먹어
#엿 먹어라 라는 말이
욕이 된 유래를 아십니까?"
1964년 12월 7일에 치러진 그당시에는
중고등 및 대학입학 시험이 치열했다합니다.
1965년도 전기 중학입시의 공동출제 선다형 문제
" 엿기름 대신 넣어서 엿을 만들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① 디아스타제 ② 꿀
③ 녹말 ④ 무즙
이 문제의 답은 ①번 디아스타제 였는데
④번 무즙도 답이 되다는 것이 이 사건의 발단.
무즙을 답으로 써서
1문제 차이로 떨어진 학생의 학부모들은 난리가 났죠.
학부모들은 이 문제를 법원에 제소하기로 하고,
먼저 입시담당기관에 항의를 하였으나,
항의가 제대로 받아들여지지가 않았다고합니다.
학부모님은 무로 엿을 만들어
입시와 관련되 기관에 찾아가 엿을 들이대며
'무즙으로 만든 엿을 먹어보라'고 소리 치면서.
" 엿 먹어라! 이게 무로 쑨 엿이다!
빨리 나와 엿 먹어라! 엿먹어!
무우즙으로 쑨 엿 맛이
얼마나 맛있고 달콤한지 정부는 아느냐!
엿 멋어라! 엿 먹어라!"
......
그리하여~
결국 김규원 당시 서울시 교육감,
한상봉 문교부차관 등이 사표를 내고
6개월이 지나 무즙을 답으로 써서 떨어질 학생 38명을
정원 관계없이 경기중학등에 입학시켰다합니다.
그 후 ...
"엿 먹어라"가 욕이 되었다합니다..
( 실화 1964년 12월 9일 신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