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치는 모든 일에 대해 어느 것 하나라도 마다 하지 않고
긍정하는 대장부(大丈夫)가 되어라.
오는 인연 막지 않고 가는 인연 붙잡지 않는
대수용(大收容)의 대장부가 되어라.
집착(執着)하지 않는 대장부가 되어라
놓으면 자유(自由)요, 집착함은 노예(奴隸)다.
살아가면서 때로는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도 있고
그런다고 흔들린다면 끝내는 자유인이 될 수 없다.
빈손으로 가는 데 무엇에 집착할 것인가?
쉼이 곧 수행(修行)이요. 대장부다운 살림살이이다.
먼 길을 가기도 어렵고 홀가분하게 나아가기도 어렵다.
자유를 맛 볼 수도 없다
쉼을 통해 우리는 삶의 에너지를 충전(充塡)한다.
불가능할 뿐더러 비정상적(非正常的)이다.
아무리 붙잡고 애를 써도
쉬지 않고서 등짐을 진채로는 살 수 없다.
마침내는 늘어져서 제 소리를 잃게 되듯이
마침내는 실패(失敗)로 끝나게 된다.
그것은 삶의 정지가 아니라 삶의 훌륭한 일부분이다.
그것은 삶이 아니라 고역(苦役)일 뿐이다.
거기서 쉼표를 없애버린다면
그건 소음(騷音)에 불과하게 된다.
멜로디의 한 부분이지 별개(別個)의 것이 아니다.
저 그릇을 보라.
그릇이 되는 것이지
그렇지 않다면 단지 덩어리에 불과하다.
빈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지 벽을 이용하는게 아니다.
오히려 더욱 유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쉼은 더욱 소중하다.
내려놓으면 해방된 사람이다.
자유와 해방을 쫓아내는 사람이요.
하필이면 노예로 살 건 뭔가?
"산은 날보고 산 같이 살라하고
물은 날보고 말없이 물처럼 살라하네."하는 말이 있다.
물은 부지런히 흐르고 있으면서도 쉰다.
가는 이는 쉬는 사람이다.
그는 쉼을 통해 자신의 삶을 더욱 빛나게 한다.
풍요(豊饒)와 자유를 함께 누린다.
마음이 대상(對象)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이다.
관념(觀念)의 울타리를 벗어나는 것이다.
마음으로 지어 놓고
그 지어놓은 것에 얽매여 옴치고
마음으로 벗어나고 마음이 쉬는 것이다..
고로 쉼에는 어떤 대상이 없다.
고정된 생각이 없고 고정된 모양이 없다.
대상과 하나 되는 흐름,
그래서 쉼은 대긍정(大肯定)이다
오는 인연(因緣) 막지 않는 긍정이요
가는 인연 잡지 않는 긍정이다.
물이 굴곡을 탓하지 않는 것과 같은 그것이 곧 긍정이다. .
시비(是非)가 끊어진 자리
마음으로 탓할 게 없고 마음으로 낯을 가릴 게 없는
그런 자리의 쉼이다.
누구나 내 것이기를 바라고 원하는 것
그 길은 쉼에 있다 물들지 않고 매달리지 않는 쉼에 있다.
어떤 즐거운 일도 영원하지 않다.
한 생애를 통해서 어려움만 지속된다면
누가 감내하겠는가.
다 도중에 하차하고 말 것이다
좋은 일도 늘 지속되지는 않는다.
그러면 사람이 오만해진다.
덜 가지고도 더 많이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욱 살뜰히 챙겨야 한다.
더 검소하고 작은 것으로써 기쁨을 느껴야 한다.
어떤 사회적인 지위나 신분, 소유물이 아니다.
우리들 자신이 누구인지를 아는 일이다.
'명상 ·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상음악] 깨달음의 언덕 (0) | 2017.07.22 |
---|---|
단하소불(丹霞燒佛) (0) | 2017.07.22 |
60에서 100세까지 할 수 있는 일 (0) | 2017.07.19 |
가정에 없어야 할 10가지 (0) | 2017.07.19 |
허(虛)의 여유 (0) | 201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