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인 · 고전사

혼인(婚姻)과 결혼(結婚)

청정지역 2019. 12. 20. 20:10

    ♣ 혼인(婚姻)과 결혼(結婚) ♣


    오는 24일(목)은 서리가 내린다는 절기, 상강(霜降)이지요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에 이어 가을 절기로서는 마지막이지요 이때쯤이면 가장 많이 날아드는것이 청첩장 이지요 결혼식은 청춘남여가 쌍을이루고 가정을 이루는 축복의 날이지요 오늘날 선남(善男) 선녀(善女)가 만나 연애를 하고 또는 가족이나 친지 그리고 지인을 통해 맞선을 보지요 그러다 마음이 동(同)하여 백년가약(百年佳約)인 혼인(婚姻)을 하게 되지요 여기서 혼인(婚姻)이라 함은 혼인할혼,장가들 혼(婚)자에 혼인인,사위집 인(姻)자를 써서 혼인(婚姻)이라 하는데 혼(婚)자는 신부을 말함이며,인(姻)자는 신랑을 말함이지요 따라서 두사람의 가약을 맺는것을 혼인(婚姻)이라 하지요 먼 옛날 우리의 풍습에는 남자가 혼인(婚姻)을 하면 여자의 집으로 들어가 일을 해주고 살았으며 첫 아이를 낳으면 비로소 독립을 하였다고 하지요 때로는 어린 신부와 가약을 맺어 신부가 클때까지 신부집에 살면서 일을 해주는 데릴사위 제도도 있었어요 그래서 그런지 요즘도 신혼부부가 혼인하여 신혼여행을 갔다가 돌아오면 먼저 신부 집에서 하루를 자고 다음날 신랑 집으로 가는데 이 또한 옛날 풍습의 영향이라 아니할수 없어요 그리고 남자가 혼인(婚姻)을 하면 새로이 장인(丈人)장모(丈母)가 생기게 되고 장인장모집을 일컬어 장가(丈家)라고 하였어요 그래서 남자가 혼인 하는것을 “장가(丈家)간다 또는 장가든다”고 말하였지요 또 여자가 혼인을 하면 새로운 시부모(媤父母)가 생기게 되고 그집을 시댁(媤宅)이라 하여 "시집(媤家)온다 또는 시집간다”고 하였어요 그래서 "장가간다와 시집온다"는 말이 생겨 났지요 그러던것이 조선시대 말기때만 해도 혼인할때 신랑이 혼(婚) 즉 신부집으로 먼저 가서 혼례(婚禮)을 올리고 초야(初夜)를 치룬후 사흘뒤에 신부를 데리고 인(姻) 즉 신랑집으로 데리고 왔어요 그래서 두사람의 평생가약을 맺는것을 가르켜 혼인(婚姻)이라 하였지요 그런데 언제 부터인가 이 백년가약을 맺는것을 결혼(結婚)이라 부르고 있지요 결혼(結婚)이란 말은 맺을 결(結)자에 혼인 혼(婚)자를 써서 양가가 혼인을 결정하였다는 뜻이지요 즉 홍길동家와 임꺽정家가 혼인 하기로 결정하였다는 넓은 의미로 사용 되는것이며 양가(兩家)의 어른(사돈)들의 결정을 "결혼(結婚)"이라 말하였던 것이지요 그러니까 결혼은 법률행위로서 일종의 계약이지요 혼인에 합의한 당사자가 혼인신고를 하면서 법률혼은 시작되는 것이니까요 따라서 결혼(結婚)과 혼인(婚姻)은 엄격히 구분되는 것이지요 물론 결혼식(結婚式)이나 혼례식(婚禮式)에 부여되는 의미는 큰 차이는 없지만 우리 조상들은 인륜지대사를 땅이나 사고파는 계약의 차원을 넘어 양가가 사돈(査頓)이되는 인척(姻戚)의 의미로 혼인(婚姻)이란 말을 사용하였어요 그런데 일본이란 나라는 예나 지금이나 혼인(婚姻)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결혼(結婚)이라는 말만 사용하고 있지요 옛날 일본의 결혼풍습은 사돈이라는 상호동등(相互同等)이라는 의미는 없고 완전한 남존여비(男尊女卑)로서 신부를 사고파는 의미가 강하여 결혼이라 했으며 그래서 결혼식을 하고 나면 신부의 성(姓)은 없어지고 신랑의 성(姓)을 따라야 했어요 이것이 일제강점기때 결혼이란 용어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도입되었고 그들의 입맛대로 '혼례식을 결혼식'이라 하였으며 전통혼례 방식밖에 없던 우리나라가 서구문화를 일찍 받아들인 일본식 예식문화로 변하게 되었다 하지요 그 여파로 1934년 김영환이 세운 "만화당 예식부(萬花堂 禮式部)"가 만들어 지기도 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예식장 이지요 그러나 일본인들처럼 혼례식이 아닌 결혼식을 올리면서도 가장 중요한 백년을 함께하고자 서약을 할때는 지금도 ‘결혼서약(結婚誓約)’이 아닌 ‘혼인서약(婚姻誓約)’을 하고 있다는 점이지요 우리 민족은 자랑스러워 어딘가 모르게 그 뿌리는 늘 간직하고 있는지도 몰라요 그리고 예나 지금이나 결혼식을 하면 반드시 신혼여행을 가는데 이를 ‘허니문(honeymoon)이라 하지요 허니문은 어원상으로 볼때 허니(honey)는 '벌꿀, 귀여운 여자, 여보' 라는 뜻이고 문(moon)은 달(한달)을 말하고 있어요 즉 허니문(honeymoon)은 감미롭고 행복한 신혼기를 보름달에 비유하여 '꿈같은 한달간의 달콤한 신혼기'를 의미 하지요 그 유래는 바빌론 시대로 올라가 그 당시의 결혼 풍습중에 신부의 아버지가 꿀에 물을 섞어 발효시켜 만든 스테미너에 좋은 '벌꿀 술인 미드(mead)'를 자신의 사위에게 주었다고 하지요 갓 결혼한 신랑은 이 술을 한달간 마시면서 왕성한 스테미너로 신부를 사랑했다고 하는데 이런 연유로 갓 결혼한 신혼부부가 떠나는 여행을 "밀월(蜜月 :꿀밀,달월)여행"이라 했으며 영어로는 허니문(honeymoon)이라고 부른다 하네요 허니문의 또 다른 유래는 고대 노르웨이에서 찾아볼수 있어요 당시에는 혼기가 찬 남성들이 사랑하는 처녀나 과부를 납치해가서 자신의 신부로 삼았는데 신부의 가족들이 그녀를 찾는것을 포기할때까지 은신처에 숨겨두었다가 데리고 온데서 유래했다고 하지요 이 기간이 한 두달 이었는데 한 두달이 지나 신부가 임신을 하게 되면 그때서야 나타나 어쩔수없는 현실에 결혼을 승낙 받았다는 것이지요 어찌보면 허니문은 눈맞은 남여들의 도피행각 이었으며 아니면 강제납치였던 것인지도 모르지요 그러나 요즘은 모든이들의 축복받는 결혼식에서 허니문은 빠져서는 안되는 당연한 코스로 자리매김 되었으며 두사람이 함께하는 첫단추요 생의 가장 소중한 추억을 만드는 일이 되었지요 7~80년도만 해도 신혼여행지로 가장 각광받던곳이 온양온천이나 해운대 였는데 간혹 잘사는집은 제주도를 가기도 했지요 요즘은 무조건 해외로 나가야하고 해외에서도 이름난 바닷가나 세계적인 명승지를 찾는다 하지요 이 모두가 잘사는 나라 세계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우뚝선 나라 덕분이 아닐런지요? 옛말에 음수사원(飮水思源)이란 말이 있어요 이는 "목이 말라 물을 마시면 갈증을 해소하는 것에 만족하지 말고 근본인 우물을 누가 팠는지를 생각하라"는 말이지요 60년대만 해도 GNP 70불에 지나지 않던 못사는 나라 헐벗은 나라를 과연 누가 어떻게 이렇듯 잘사는 나라로 만들었는지 결혼 적령기에 있는 젊은 세대들은 반드시 알았으면 좋겠어요 아무튼 결혼(結婚)이란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중 가장 큰 대사 이지요 신혼(新婚)이란 말은 생의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말함이구요 그런데 재미있는 말로 ‘신혼’이란 한쪽은 ‘신’나고 한쪽은 ‘혼’나는 것이라고 하지요 과연 어느쪽이 신나고 어느쪽이 혼이 날까요? ㅎㅎ -* 일송 *-   ▲ 우리나라 전통 혼례식...


    ▲ 일본 결혼식 장면...



    ▲ 신혼부부...





    ▲ 결혼 첫날밤...



    ▲ 대단한 각오 이지요?...


    ▲ 새신부가 웃고 있어요...


 

   



'명인 · 고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탄절의 유래   (0) 2019.12.28
지족불욕(知足不辱) 지지불태(知止不殆)  (0) 2019.12.21
두말 말고 오소   (0) 2019.12.19
재벌의 산실 지수초등학교  (0) 2019.12.17
항룡유회(亢龍有悔)  (0) 2019.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