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에 따라 다른 삼계탕 맛있게 끓이는법
삼계탕 재료 : 닭1마리, 수삼1뿌리, 불린 찹쌀3/4컵, 황기1/2뿌리,
마늘 5쪽, 대추3개, 잣- 검은깨 약간씩, 은행 4개, 소금
삼계탕 만드는 방법
1. 수삼은 칼날로 껍질을 긁어내고 싹이 나는 부위를 잘라낸 다음 씻어 건진다.
찹쌀은 깨끗이 씻어 미리 불린다.
2. 황기는 너무 길지 않게 잘라두고 마늘과 대추, 잣, 검은깨를 준비한다.
(잣과 검은깨는 생략해도 무관하다)
3. 은행은 소금을 약간 넣고 끓인 물에 살짝 데쳐 껍질을 벗긴다.
4. 닭은 삼계탕용 작은 것으로 준비하여 아랫쪽의 기름을 잘라낸 뒤,
찬물에 핏물을 씻어 물기를 닦는다.
5. 3시간 이상 불려 건진 찹쌀과 ①의 수삼을 닭의 뱃속에 넣는다.
6. 닭의 아랫쪽 양면에 칼집을 넣은 다음 닭다리를 서로 엇갈리게 꽂아 모양을 잡는다.
날개는 뒤쪽으로 틀어 고정시킨다.
7. 냄비에 닭을 넣은 뒤 황기와 대추, 마늘을 넣고
닭이 푹 잠길 정도로 물을 부어 서서히 끓인다.
8. 끓이면서 떠오르는 기름은 수시로 걷어낸다.
푹 무르고 뽀얗게 끓여졌으면 들어내어 담고 잣과 검은깨를 뿌린다.
1. 혈압 높은 사람 : 인삼 넣지 말 것
- 닭의 기름 부위와 껍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끓이도록 한다. 끓이면서 떠오르는 기 름도 걷어낸다. 열과 기를 올려주는 인삼은 넣지 않고 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땀 많은 사람 : 황기 첨가
- 삼계탕의 주재료인 인삼과 닭고기는 성질이 따뜻하여 원기를 돋워주고, 부재료인 대추, 마늘, 찹쌀 등은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진액을 보충시켜준다. 이때 피부기능을 강화하면서 땀이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황기를 넣는것이 필수이다.
3. 장이 약한 사람 : 찹쌀과 마늘 넉넉히 넣기
- 마늘과 찹쌀을 평소보다 좀 넉넉히 넣어 퓨레 상태로 푹 끓여 먹는다면 위장을 따뜻하게 하여 설사를 멈추게 한다. 찹쌀은 소화를 돕는다.
4. 탈수증세가 있는 사람 : 오미자 추가
- 오미자를 넣어 끓이거나 오미자 우린물과 함께 먹으면 맥이 살아나 탈수 증세에 도움이 된다.
5. 입맛 없고 기운 없는 사람 : 대나무잎이나 황기 추가
- 이런 경우에도 황기를 넣으면 좋다. 미꾸라지를 같이 넣으면 위장 기능을 더욱 강화하여 입맛을 돋우고 기운을 보충해준다. 또는 대나무잎을 20g 정도 같이 넣어서 조리한다.
'맛집 · 먹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곰탕 찹쌀밥 (0) | 2015.07.21 |
---|---|
칼칼한맛과 구수한 우거지 (0) | 2015.07.20 |
어묵잔치국수 (0) | 2015.07.18 |
매콤한 낙지 호롱구이 만들기 (0) | 2015.07.17 |
육개장 (0) | 2015.07.16 |